본문 바로가기

About../Network

ppp 와 pppoe 의 차이점

1.정의.설명

 

단도직입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부분이지만 차근차근 생각하면서..

네트웍 쪽의 공부를 하다보시면 OSI 7 레이어(layer)에 대한 언급을 많이 하게 됩니다.
이것은 ISO라는표준기구 산하의 오픈시스템인터페이스(Open System Inferface) 그룹에서 정의한 네트웍의 계층적인 구조입니다. 모든 네트웍아키텍쳐이 7 레이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오히려 4~5 계층을 가지고 있는 것이 더 많습니다. 그러나, 개념이 명확하기 때문에 많이 인용합니다. 이것은 Physical - Data Link - Network - Transport - Session - Presentaion - Application의 7레이어 입니다.

실용적인 입장에서는 Physical레이어(물리적인 계층으로 1bit 전송 책임, 연결 매체에 종속) 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Data Link 레이어 입니다. 이것은 2개의 접점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책임지는 것으로 실제적인 네트웍 시스템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ata Link 레이어에서는 라우팅과 같은 경로 개념은 없지만,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접점 사이의 멀티비트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을 책임집니다. 그러므로, 모든 네트웍아키텍쳐에서는 고유한 DataLink 레이어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TCP/IP의 Ethernet, 마이크로소프트사의 NETBEUI의 NDIS, 노벨사의 ODI, ATM네트웍아키텍쳐의 ATM레이어, IBM사의 TokenRing, PPP 프로토콜 ... 등이 있습니다.

네트웍아키텍쳐 사이의 호환성을 위하거나 라우팅을 위해서, 자신의 고유 Data Link레이어가 아닌 다른 계열의 DataLink 레이어 위에서 상위 레이어를 올려서 사용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TCP/IP의 상위레이어를 NDIS, ODI, ATM, TokenRing, PPP와 같은 Data Link 레이어 위에 올리는 것입니다.

묘한 것은 PPP 프로토콜로서 DataLink 레이어이기는 하지만, 라우팅을 포함한 원격으로 분리된 2개의 peer 사이를 개념적으로 연결하므로 내부적으로는 한단계위인 Network 레이어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PPP는 네트웍 레이어를 개념적으로 DataLink 레이어로 만들어 줍니다.

PPPoAATM DataLink 레이어 위에 PPP프로토콜을 올려서 가상의 DataLink 레이어로 삼아서, 여기에 TCP/IP의 상위 레이어를 올리는 방식입니다.

PPPoEEthernet DataLink 레이어 위에 PPP프로토콜을 올려서 가상의 DataLink 레이어로 삼아서, 여기에 TCP/IP의 상위 레이어를 올리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얘기하면 PPPoE에 중복이 있는 것 처럼 보이죠? Ethernet 위에 한꺼플을 쒸어서 다시 올리는 것 같은....
좀더 얘기하면 DSL 계통의 모뎀이 내부적으로 ATM 계열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DSL 모뎀 자체는 ATM으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그 위의 장비들은 ATM으로 통신을 합니다.
PPPoA는 DSL모뎀도 ATM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그 위에 TCP/IP를 올리는 방식으로 ATM에서 초기에 사용했던 ATM과 TCP/IP의 호환방식입니다.
PPPoE는 DSL모뎀은 Ethernet으로 동작하고, 상위 장비와 Ethernet 방식으로 통신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후기에 나타난 방식입니다.

초기에는 전체 네트웍이 ATM으로 동작하는 PPPoA 방식이 더 효율이 좋다고 생각되었으나, FastEthernet이나 Gigabit Ethernet 등의 발전으로 오히려 PPPoE 방식으로 선회하고 있습니다.

좀더 정확한 것은 ATM과 DSL 모뎀에 관련된 책을 구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2.차이점

 

하나는 컴퓨터안으로 들어가는 내장형 모뎀과 또 하나는 컴퓨터 외부에 장착하는 외장형 모뎀입니다.

PPPoA는 컴퓨터 안으로 들어가는 내장형 모뎀을 가르키는 것이고요.

PPPoE는 컴퓨터 외부에 장착하는 외장형 모뎀을 가르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 PPPoA ) ADSL 모뎀보다는 외장형 ( PPPoE ) 모뎀이 속도나 안정성에서

매우 뛰어나니 혹시 신규가입 하시려면 외장형으로 신청해서 쓰시길 권해 드립니다.

내장형 모뎀은 컴퓨터 특성을 타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술적인 참고 자료 ..


PPPoE/PPPoA 무엇이 다른가요?

원칙상 ADSL 모뎀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라고 불리우는 방식으로 전화국 측 장비와 통신합니다. 그래서, ATM 위에 PPP 프로토콜이 올라갔다는 의미로 'PPPoA' 프로토콜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우리한테 매우 익숙하고 간단한 로컬 네트워킹 방식은 이더넷입니다. 그래서 'Ethernet Bridging'(이더넷이 양쪽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는 의미)을 거쳐 ATM 방식으로 전화국 측 장비와 통신하게 됩니다. 두 방식 간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성능이라든지 차이는 없습니다

PPPoE (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PPPoE는 모뎀과 같은 고객의 공용 장비를 통해 하나의 이더넷을 이용하는 여러 사용자들을 원격지에 있는 사이트에 연결하기 위한 규격이다. PPPoE 기술은 사무실이나 빌딩 내의 모든 사용자들이 하나의 DSL이나 케이블 모뎀 또는 무선접속을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PPoE는 다이얼업 접속에서 흔히 사용되는 PPP근거리통신망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는 이더넷 프로토콜이 결합된 것이다. PPP 프로토콜 정보는 이더넷 프레임 내에 캡슐화된다.

PPPoE는 전화회사와,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ISP 모두에게 아무런 이점이 없다. 다이얼업 접속과는 달리, DSL과 케이블 모뎀은 항상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다. 수 많은 사용자들이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접속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업체의 입장에서는, 어떤 사용자에게 트래픽이 가야하며, 누구에게 대금을 청구해야 할지를 추적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PPPoE는 각 원격사이트가 각 사용자들의 네트웍 주소를 알 수 있도록 특별한 세션을 제공한다. 개개의 사용자와 원격지 사이트간에 세션이 연결되면, 그 세션은 대금청구 목적으로,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당할 수도 있다. 많은 아파트나 호텔 및 회사에서 현재,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 이더넷과 PPoE 기술을 이용, DSL 회선을 공유하고 있다.




출처 Legend Of KKimera | 키메라
원문 http://blog.naver.com/sunkwarch/6001246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