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Network

HSRP

   

   

http://blog.naver.com/wowsg/10026535249

   

---------------------------------------

라우터의 장애 대비 HSRP

---------------------------------------

   

* HSRP, Hot Standby Routing Protocol

   

- 시스코 장비에서만 사용되는 기능

( 다른 회사 장비도 비슷한 기능이 있지만, 프로토콜과 호환은 불가능 )

   

- 라우터 고장에 대비해, 라우터 대를 구성해서, 메인 라우터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두번째 라우터가 메인 라우터의 역할을 대신하는 기능

   

- 가상의 라우터 IP PC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세팅

   + 가상의 IP 대해 Active / standby 라우터 구분

   + Active 라우터 문제 발생시 stndby 라우터가 역할 대신 수행

   가상의 IP 인해 PC들은 라우터가 바뀌어도 디폴트게이트웨이 주소

      수정 필요 없음

   

- 트래킹, Tracking : Active 라우터가 다운된건 아니지만, 시리얼 회선에 문제가 생겨  

                               통신이 불가능해진 경우, Active 라우터를 교체하는 기법

   

   

----------------------------

관련 명령어

----------------------------

   

1) 가상의 디폴트 게이트웨이 세팅

   

Router(config-if)# standby [HSRP-group-No.] ip [pseudo-IP]

   

()

Router(config-if)# standby 1 ip 172.70.100.1

   

* 구성은 standby 동작할 라우터에도 동일한 HSRP 그룹 번호와 가상의

   게이트웨이 주소로 세팅해야만 한다

   

   

2) Active 라우터의 priority 설정

   

Router(config-if)# standy [HSRP-group-No.] priority [priority-No.]

   

()

Router(config-if)# standy 1 priority 105

   

   

* [priority-No.]

   

- 값이 높은 라우터가 active 라우터가 되고, 낮은 것이 standby 라우터가 된다.

- 디폴트 값은 100.

   

   

3) Active 라우터로 복귀하기

   

- 장애가 발생했던 Active 라우터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다시 active라우터로

  복귀하도록 한다.

- 명령을 사용하지 않으면, active 라우터가 살아나도 다시 active 라우터로 복귀 불가능

- (주의) 명령어는 active, standby 라우터 양쪽에 모두 동일하게 구성해줘야

   

   

Router(config-if)# standby [HSRP-group-No.] preempt  [delay [second]]

   

* [second] : 다시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지정

   

()

Router(config-if)# standbypreempt delay 5

   

* delay 생략 가능

   

   

4) 트래킹 설정

   

Router(config-if)# standby [HSRP-group-No.] track [interface]

                           [degraded-priority]

   

*[interface] : 여기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생길경우 트래킹되도록 한다

   

* [degraded-priority] : 트래킹시 우선순위를 기존의 설정된 값보다 얼마나 낮게

                                   설정할 정한다.

   

()

Router(config)# int e 0

Router(config-if)# standby 1 track serial0 10

- Serial 0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라우터의 우선순위를 10 떨어뜨린다.

   결과, standby 라우터가 active 라우터가

   

5) HSRP 타이머 세팅

- 세팅한 시간마다 라우터의 이상 여부 확인

- 주로 디폴트 값을 사용하므로, 구성하지 않아도 상관없음

   

Router(config-if)# standby [HSRP-group-No.] timer [hello-time] [hold-time]

   

* [hello-time] : active 라우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주기, 초단위

* [hold-time] : active 라우터의 무반응을 기다릴 있는 제한 시간()

   

()

Router(config-if)# standby 1 timers 3 10

   

- HSRP 1 그룹에 속한 라우터들은 3초마다, 한번씩 서로를 확인한다.

   그리고 10초동안 active 라우터에서 대답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standby 라우터가

    active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6) 현재의 HSRP 동작 상태 확인

   

Router# show standby

   

   

7) 디버그 명령어 이용

- active 라우터와 standby 라우터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있다.

   

Router# debug standby

   

* HSRP 구성은  어렵다기 보다, 주로 실수에 의한 문제 발생이 많다.

   IP 주소를 잘못잡는다든지, 세팅값을 서로의 라우터에 틀리게 설정하는 등의 문제에 주의.

   

* 결과를 확인한후, 실제 3초에 한번 hello 패킷이 나가는지 확인해보기!!

   

   

-----------------------------

HSRP 구성 예제

-----------------------------

   

Condition.

   

* 라우터 B 액티브 라우터로, 라우터 C 스탠바이 라우터로

* PC들의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는 172.70.100.1

* 라우터 B 다운되면 라우터 C 액티브 라우터으 ㅣ역할을 수행하지만,

   만약 라우터 B 다시 살아나면 라우터 C 스탠바이로 복귀

* 라우터 자체으 ㅣ다운 아니라 라우터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생겨도

   액티브 라우터에서 스탠바이 라우터로 역할을 교대한다.

   

   

   

   

   

   

   

   

   

************

   

   

-------------------------

IP 주소의 변환 NAT

-------------------------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용하는 이유

   

- 내부의 네트워크에 비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는 경우에만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 기존에 사용하던 ISP에서 새로운 ISP 바꾸면서 내부 전체의 IP 바꾸지 않고

   기존의 IP 주소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 개의 인트라넷을 서로 합하려다 보니 네트워크의 IP 서로 겹치는 경우

   

- TCP 로드 분배가 필요한 경우

( 외부에서는 하나의 주소로 보이는 호스트가 내부에는 여러개의 호스트에 매핑되도록 해서

  서버의 로드를 분배)

   

   

* 용어

   

   

1)  Inside local 주소 :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비공인 주소

2) Inside Globla 주소 : 외부로 나갈때 변환되어 나가는 주소

, NAT inside local 주소를 inside global 주소로 바꾸어 주는 과정

   

   

3) Outside local 주소: NAT 내부 사설망을 통해 패킷을 전송할때 외부 호스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outside 로컬 주소를 사용한다

4) Outside Global 주소 : 이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호스트에 할당된 실제 IP이다.

   

inside Vs. outside

inside 기업 내부에 있는 호스트 주소를 언급하기위한 용어이다. 반면, outside 기업의 외부 , 인터넷에 존재하는 호스트들이 사용하는 주소를 언급하기 위한 용어이다.

   

   

* NAT 종류

- Static NAT : 특정 사설 IP 고정된 특정 공인 IP 지정, 1:1 매핑

- Dynamic NAT : 1:1 매핑이긴 하나, 특정 IP 아닌, 사용 가능한 임의의 IP들로 변환

   

   

   

------------------

관련 명령어

------------------

   

NAT에는 옵션이 너무 많으므로, 부분을 공부할 때는 주어진 ()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이 속편하게 하는 방법!!

   

1) Inside Global IP pool 지정

   

Router(config)# ip nat pool [name] [start-ip] [end-ip]

                         {netmask [netmask]  | prefix-length [prefix-length]}

                          [type rotary]

   

* [name] : pool 이름을 지정하되, 나중에 오는 ip nat inside source list 명령에서

                 주어지는 pool 이름과 일치해야 한다.

   

* [start-ip] : 사용할 주소

   

* [end-ip] : 사용할 마지막 주소

   

()

Router(config)# ip nat pool ccie 210.98.100..2  210.98.100.254 

                          netmask 255.255.255.0

   

- 명령은 외부로 나갈때 사용할 Inside Global IP 주소의 .

- , 내부의 주소가 라우터 밖으로 나가면서 바뀌어져 나갈 주소

- 여기서는 (210.98.100..2) ~  ( 210.98.100.254) 까지 사용하겠다는 의미

- pool 이름은 ip nat inside source list 명령에서 주어지는 pool 이름과 일치시켜야만

   

   

2) 주소 (pool) 지정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list {access-list-number | access-list-name} |

                           route-map name}

                         {interface type number | pool pool-name} [overload]

   

()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list 22 pool ccie

   

- inside 정의한 인터페이스에서 오는 패킷의 source주소를 보고

   주소가 access list 22번에 정의한 source 주소에 해당하면

   것을 지정된 (ccie) 있는 주소로 바꾸겠다는 의미

   

- outside 정의한 인터페이스에서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보고 그것이 pool

  속한 주소면 그것을 다시 private 주소로 바뀌주겠다는 의미

   

- 명령의 의미는 아주 중요하므로 이해하자

   

   

3) NAT에서 access-list 설정

   

Router(config)# access-list 1 permit 10.1.1.0  0.0.0.255

   

- inside local 주소로 정의할 영역을 액세스 리스트를 이용해서 지정해 주어야 한다.

   

   

4)  인터페이스 설정

- inside outside 인터페이스가 어디인지 지정

   

Router(config-if)# ip nat {inside | outside}

   

()

Router(config)# int e 0

Router(config-if)# ip address 10.1.1.1 255.255.255.0

Router(config-if)# ip nat inside

   

   

5) Static NAT 명령어

- 변하지 않는 Global 주소를 가져야만 하는 호스트를 지정할 사용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0.1.1.100   210.98.100.100

   

- (10.1.1.100)  항상 (210.98.100.100) 으로 변환되도록

   

6)  설정한 NAT 확인

- 내부 주소가 어떤 외부 주소로 바뀌고 있는지 확인 가능( 형식)

   

Router# show ip nat translations

   

   

7)  NAT 변환의 현재 과정 확인 가능

Router# debug ip nat

Router# un all

   

   

   

   

   

   

--------------------------------------------------------------------------

   

NAT 대한 부분은 후니 보다는 ICND 짜임새 있고 자세하게

설명되어있다.

시험이 끝나고 나서 부분을 다시 한번 읽어두는 것도 괜찮을 같다.

   

PDF.  292 ~ 308

   

* Concept and Configuration*

Static NAT

Dynamic NAT

Overloading NAT with Port Address Translation(PAT)

Translating Overlapping Addresses

   

Microsoft Office OneNote 2007을 사용하여 작성했습니다.
모든 노트 및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